
1. 풍류도(風流徒)의 개요
풍류도(風流徒)는 삼국시대의 무예와 선도의 부루[풍류] 문화가 당시 융성했던 불교문화[유식학의 유가수행 문화]와 합쳐지며 탄생한 심신 쌍운의 고대 수행문화 원형을 간직한 수행 집단이다.
이는 몸과 마음을 율려와 함께 맑히는 삼일징심법(三一澄心法)수행을 바탕으로 수행하며 신라 중기에 국가의 동량을 육성하는 화랑도, 국선도로 발전 한다.
신라 중고기 화랑은 삼국통일을 주도하였던 무훈담이나 충효 등에 관한 미담에서, 화랑도가 신라 사회를 이끄는 주요한 청소년 결사체로서 기능하였음을 살필 수 있다.
풍류는 땅, 물, 불 그리고 바람 등 자연을 벗 삼은 수행문화 원형인 ‘부루’에서 시작됐다는 것이 육당 최남선의 설명이다.
고구려의 조의선인, 백제의 수사도, 신라의 화랑도는 배달민족의 현묘지도(玄妙之道)인 부루(풍류)도에서 비롯됐다는 것이다. ‘풍(風)은 일찍부터 동아시아에서 자연의 한가함이나 예술의 정서와 사람의 품격을 드러내는 뜻으로 존중된 개념 이며?풍류도는 소도를 중심으로 풍류지도를 닦는 수행집단 이었다.
풍류도는 신라의 고운 최치원 선인의 난랑비서에서[일연의 삼국유사 화랑세기편] 밝히듯이 고구려의 조의선인, 백제의 수사도, 신라의 화랑도 등은 배달겨레의 현묘지도인 부루 풍류도에서 비롯되어 그 법이 이어져온 것이라 보아진다.
No. | 구분 | 제목 | 작성일 | 조회 |
---|---|---|---|---|
26 | 자료실 | 숲에서 길을 잃으면 | 13/10/2015 | 3511 |
25 | 자료실 | 간화선 국제학술대회 자료 | 13/10/2015 | 4032 |
24 | 자료실 | 법 나누기: A flower in a dream | 13/10/2015 | 2894 |
23 | 자료실 | 법 나누기: 곰구를 이야기 | 13/10/2015 | 3200 |
22 | 자료실 | D.D.M(동선무) #3: 동선무 시범 | 13/10/2015 | 3865 |
21 | 자료실 | D.D.M(동선무) #2: 첫번째 바탕 | 13/10/2015 | 2859 |
20 | 자료실 | D.D.M(동선무) #1: 동선무(動禪舞) | 13/10/2015 | 3574 |
19 | 자료실 | 무드라(Mudra) #5 : 열두겨리 실천방법 | 13/10/2015 | 3319 |
18 | 자료실 | 무드라(Mudra) #5 : 열두겨리 수행법 | 13/10/2015 | 3509 |
17 | 자료실 | 무드라(Mudra) #5 : 열두겨리 | 13/10/2015 | 3191 |